맨위로가기

서사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사 영화는 원래 시적 장르에서 유래하여, 영웅의 행위나 여정에 초점을 맞춘 영화를 의미한다. 전쟁, 사회적 위기, SF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지며,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다루는 경우가 많다. 웅장한 스타일과 대규모 제작 비용이 특징이며, 흥행 배우와 앙상블 캐스트, 웅장한 음악을 사용한다. 1960년대에 인기를 얻었으며, CGI 기술 발달과 함께 현대에도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역대 흥행 영화 중 상당수가 서사 영화이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사 영화는 역사, 서부극, 검과 샌들, SF/판타지 등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사 영화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서사 영화 - 석양의 무법자
    《석양의 무법자》는 남북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20만 달러의 남부 동맹 군자금을 쫓는 세 인물, 블론디, 투코, 엔젤 아이즈의 협력, 배신, 추격을 그린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의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이다.
  • 영화 장르 - 다큐멘터리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는 현실 기록에 중점을 두고 사실 자료에 기반하여 제작되며, 저널리즘, 옹호, 개인적 표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영화 장르이다.
  • 영화 장르 - 장편 영화
    장편 영화는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주요 영화를 의미하며, 상영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상, 35mm 필름 1,600미터 이상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규정된다.
서사 영화
영화 장르
다른 이름서사 영화
특징규모가 크다
범위가 넓다
장대한 스펙터클을 보여준다
관련 장르역사 영화
전쟁 영화
스타일 및 내용
배경역사적 사건
신화적 사건
주제국가의 탄생
문명의 부상과 몰락
영웅의 이야기
특징적인 요소긴 상영 시간
광범위한 촬영
많은 출연진
높은 제작비
웅장한 음악
역사
기원1910년대 이탈리아의 카비리아
황금기1950년대와 1960년대
인기 요인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인한 영화 산업의 변화
냉전 시대의 이념적 갈등
쇠퇴1970년대 이후
예시 작품
고대 배경카비리아 (1914)
십계 (1956)
벤허 (1959)
스파르타쿠스 (1960)
클레오파트라 (1963)
로마 제국의 멸망 (1964)
트로이 (2004)
킹덤 오브 헤븐 (2005)
중세 배경엘 시드 (1961)
베킷 (1964)
라이언 인 윈터 (1968)
브레이브하트 (1995)
킹 아더 (2004)
킹덤 오브 헤븐 (2005)
로빈 후드 (2010)
근대 배경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전쟁과 평화 (1956)
아라비아의 로렌스 (1962)
닥터 지바고 (1965)
대부 (1972)
쉰들러 리스트 (1993)
타이타닉 (1997)
추가 정보
참고 자료Filmsite: Epic Films

2. 특징

서사 영화는 웅장한 배경과 특별히 디자인된 의상을 사용하며, 웅장한 음악과 앙상블 캐스트의 흥행 배우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영화 중 하나로, 현장 촬영, 실제 시대 의상, 대규모 액션 장면 등을 활용한다. 전기 영화는 이 장르의 덜 화려한 버전일 수 있다.[10] 로드쇼 영화 개봉을 하거나 70 mm 필름으로 촬영되기도 한다.[11]

영화의 주요 갈등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의 행동은 사회적 갈등 해결의 중심이 된다.

1914년 이탈리아의 조반니 파스트로네 감독이 제작한 『카비리아 ''Cabiria''』는 초기 대표적인 예이다. 3시간의 상영 시간을 가진 무성 영화로, D. W. 그리피스의 무성 서사시의 기초를 다졌다.[10]

클레오파트라』, 1963년.


1960년대에 인기의 정점을 찍었으며,[11] 할리우드로마치네치타 등 타국 촬영소와 합작하고, 스페인이나 모로코 등 이국적인 장소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했다. 조셉 L. 매키위츠 감독의 『클레오파트라』(1963년), 앤서니 만 감독의 『로마 제국의 멸망』(1964년), 데이비드 린 감독의 『닥터 지바고』(1965년)를 끝으로 국제적 합작 붐은 종결되었다고 여겨진다. 서사 영화의 황금 시대가 끝나기 전, 소비에트 연방 (현재의 러시아)에서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감독한 『전쟁과 평화』(1965년)가 제작되어 공개되었다.

21세기에도 서사 영화는 계속 제작되고 있지만, 과거만큼 웅장한 규모로 제작되지는 않으며, 수천 수만 명의 배우를 동원하는 대신 VFX 효과를 사용한다. 따라서 20세기 작품처럼 세계 최고 수준의 비용이 드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다.

서사 영화의 정의는 시간이 흐르면서 확대되어, 역사, 시대, 사건을 웅대한 시야로 그리는 작품을 포함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대부』(1972년),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스카페이스』(1983년),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1984년),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카지노』(1995년)와 같은 범죄 영화는 서사적이라고 보기 어렵지만, 평론가들은 이들을 "서사 영화"로 목록에 올리기도 한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친 서사 영화는 특히 관객들에게 더욱 열광적이고 파노라마적인 극장 경험을 제공하고자 스코프 사이즈로 촬영되었다.

2. 1. 다양한 관점

"서사시"라는 용어는 원래 길가메시 서사시나 트로이 전쟁 사이클의 작품과 같은 시적 장르에서 유래했다. 고전 문학에서 서사시는 많은 사람들의 운명이 달려 있는 영웅의 행위나 여정에 초점을 맞춘 작품으로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서사시"로 묘사되는 영화는 일반적으로 역사적 인물 또는 신화 속 영웅을 다룬다. 그러나 서부 개척사 또는 ''에덴의 동쪽''과 같이 엄청난 규모와 광활한 배경을 바탕으로 "서사시"로 묘사되는 영화도 있는데, 이러한 영화는 고전 서사시의 전형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서사시적인 스타일로 연출되었다.

서사 영화는 종종 전쟁이나 기타 사회적 위기 동안에 설정되며, 때로는 전체 세대에 걸쳐 더 긴 시간 동안 다루어진다. 이러한 영화는 일반적으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SF (즉, 판타지 또는 SF) 배경이 최근 수십 년 동안 일반화되었다.

미국 영화 연구소는 이 장르를 ''벤허''와 같은 역사 영화로 제한하지만, 콘스탄틴 산타스와 같은 영화 학자들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및 ''스타워즈''와 같은 SF 영화로 확장하려 한다.[2] 린 레이미는 "'서사시' 영화는 정의하기 가장 어려운 영화 장르 중 하나"라고 말한다.[3] 아메리카 무비 채널은 공식적으로 서사 영화를 역사 영화로 정의하지만, 서사 영화가 SF 장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스타워즈''를 예시로 인용한다.[4]

로저 이버트는 ''아라비아의 로렌스''에 대해 "''서사시''라는 단어가 비용이나 정교한 제작이 아니라 아이디어와 비전의 크기를 의미한다"고 말했다.[5]

3. 역사

서사 영화는 영화 초창기부터 존재해 온 유서 깊은 장르이다. 초기 주목할 만한 예로는 조반니 파스트로네의 2시간 30분 분량의 무성 영화인 《카비리아》가 있는데, 이는 포에니 전쟁을 다룬 작품으로, 이후 D. W. 그리피스의 무성 서사 영화의 토대를 마련했다.[10]

1950년대 이후 이러한 영화는 더 몰입적이고 파노라마적인 영화 경험을 위해 넓은 화면비로 정기적으로 촬영되었다.

3. 1. 전성기 (1960년대)

1960년대 초, 할리우드는 스페인, 모로코 등 이국적인 장소에서 《엘 시드》(1961), 《아라비아의 로렌스》(1962)와 같은 서사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로마의 치네치타 등 해외 영화 스튜디오와 협력했다.[6] 이러한 국제 공동 제작 붐은 《클레오파트라》(1963), 《로마 제국의 멸망》(1964), 《닥터 지바고》(1965)를 끝으로 쇠퇴했다.[11]

한편, 인도에서는 번성하는 힌디 영화 산업을 통해 《무굴 에 아잠》(1960)이 제작되었는데, 이 영화는 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자 아시아 서사 영화의 이정표로 널리 여겨진다.[6]

3. 2. 소련 (1960년대 후반)

1960년대 소비에트 연방(현재의 러시아)에서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감독한 《전쟁과 평화》(1967)가 제작되어 공개되었다.[11]

3. 3. 현대 (21세기)

21세기에 들어서도 서사 영화는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처럼 수많은 배우를 실제로 동원하기보다는 컴퓨터 그래픽(CGI)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20세기만큼 제작비가 막대하게 들어가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다.[12]

4. 대중적 반응

서사 영화는 폭넓은 관객에게 어필하는 경향이 있어 역대 흥행 영화 목록에 많이 포함되며, 아카데미상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경향이 있다.

4. 1. 흥행 수익

서사 영화는 폭넓은 관객에게 어필하는 경향이 있어, 역대 흥행 영화 목록에 많은 서사 영화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임스 캐머런의 1997년 영화 ''타이타닉''은 이 장르를 부활시킨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전 세계 영화관에서 18억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려 12년 동안 최고 흥행 영화 기록을 유지했다.[7]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역사 로맨스 서사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역대 최고 흥행 영화이며, ''타이타닉''과 ''닥터 지바고''도 세계 10위 안에 포함되어 있다.[8]

4. 2. 아카데미상

서사 영화는 아카데미상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단일 영화가 받은 최다 아카데미상 기록은 11개이다. 이 기록은 ''벤허''(1959년), ''타이타닉''(1997년),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2003년) 단 세 편의 영화만이 달성했으며, 이들 모두 3시간이 넘는 대작 영화로 간주된다. 이전 기록 보유자는 역시 대작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였으며, 10개의 상을 받았다.[10]

5. 하위 장르

서사 영화는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길가메시 서사시나 트로이 전쟁 사이클과 같은 고전 서사시에서 유래한 이 장르는, 역사적 인물이나 신화 속 영웅을 다루며, 왕족, 검투사, 위대한 군사 지도자 등을 주제로 삼는다.[2]

미국 영화 연구소는 서사 영화를 ''벤허''와 같은 역사 영화로 제한하지만,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나 ''스타워즈''와 같은 SF 영화로 확장하려는 시도도 있다.[2] 린 레이미는 "'서사시' 영화는 정의하기 가장 어려운 영화 장르 중 하나"라고 언급했으며,[3] 아메리카 무비 채널은 서사 영화를 역사 영화로 정의하면서도 SF 장르와의 결합 가능성을 인정한다.[4]

5. 1. 주요 하위 장르

"서사시"라는 용어는 원래 길가메시 서사시나 트로이 전쟁 사이클의 작품과 같은 시적 장르에서 유래했다. 고전 문학에서 서사시는 많은 사람들의 운명이 달려 있는 영웅의 행위나 여정에 초점을 맞춘 작품으로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서사시"로 묘사되는 영화는 일반적으로 역사적 인물 또는 신화 속 영웅을 다룬다. 서사시의 일반적인 주제는 왕족, 검투사, 위대한 군사 지도자 또는 세계사 각 시대의 주요 인물이다.[2]

장르별 영화 분류에서 미국 영화 연구소는 이 장르를 ''벤허''와 같은 역사 영화로 제한한다. 그러나 콘스탄틴 산타스와 같은 영화 학자들은 이 라벨을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및 ''스타워즈''와 같은 SF 영화로 확장하려 한다.[2] 린 레이미는 "'서사시' 영화는 확실히 정의하기 가장 어려운 영화 장르 중 하나"라고 말한다.[3] ''아메리카 무비 채널''은 공식적으로 서사 영화를 역사 영화로 정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사 영화가 SF 장르와 결합될 수 있으며 ''스타워즈''를 예시로 인용한다.[4]

주요 하위 장르는 다음과 같다.

  • 서사 역사 영화
  • 서사적 서부극(:en:Epic Western)
  • 검과 샌들
  • 서사 종교 영화
  • 서사 로맨스 영화
  • 서사 전쟁 영화
  • 서사 범죄 영화
  • 서사 SF/판타지 영화
  • 서사 애니메이션 영화

참조

[1] 뉴스 Epic Films http://www.filmsite.[...] Filmsite 2008-07-12
[2] 서적 Responding to film: a text guide for students of cinema art Rowman & Littlefield
[3] 서적 Hollywood in the Holy Land: essays on film depictions of the Crusades and Christian-Muslim clashes https://archive.org/[...] McFarland
[4] 웹사이트 Film Site Epics/Historical Films http://www.filmsite.[...] Filmsite.org 2014-07-16
[5] 웹사이트 Lawrence of Arabia (1962) http://rogerebert.su[...] suntimes.com 2007-06-18
[6] 뉴스 Explore by genre:Epic http://www.allmovie.[...] allmovieg 2008-07-12
[7] 뉴스 'Avatar' breaks 'Titanic' worldwide record https://www.hollywoo[...] 2010-01-25
[8]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Guinness World Records
[9] 뉴스 叙事詩 https://kotobank.jp/[...] 知恵蔵, 大辞泉, コトバンク 2009-10-29
[10] 뉴스 Epic Films http://www.filmsite.[...] Filmsite 2008-07-12
[11] 뉴스 Explore by genre:Epic http://www.allmovie.[...] allmovieg 2008-07-12
[12] 웹사이트 Lawrence of Arabia (1962) http://rogerebert.su[...] suntimes.com 2001-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